본문 바로가기

Planet F

[Planet F] 주식 하루가 멀다하고 뉴스에서는 주식 관련 소식들이 쏟아지고, 재테크니 노후보장이니, 최근에는 2030세대도 주식에 대해 큰 관심을 가지고 있는 것 같습니다. 그렇다면 이 주식이란 무엇일까요? 채권에 대한 글에서 말했듯이 주식은 기업이 자금 조달을 위해, 즉 돈을 빌리기 위해 발행합니다. 채권과 목적이 같습니다. 그럼 자세하게 알아보겠습니다. A라는 기업은 공장을 추가로 지으려고 합니다. 근데 드가지고 있는 돈으로는 공장을 지을수가 없죠. 그래서 A기업은 주식을 발행하게 됩니다. A기업은 500원짜리 주식을 10주 발행했습니다. (~주는 주식을 세는 단위입니다.) A기업이 시장으로부터 빌리는 돈은 총 5,000원이 되겠네요. B라는 사람은 A기업의 주식을 5주 샀습니다. 그럼 B씨는 돈을 빌려주는 대가로 무엇.. 더보기
[Planet F] 증권사 CMA 비교 이번 글은 계획에는 없었지만, 증권사별 CMA 수익률을 찾아주시는 분들께서 많아 준비해 보았습니다. 대부분의 증권사는 CMA 상품을 가지고 있습니다. 다양한 혜택들도 중요하지만, 무엇보다 가장 중요한 요소는 수익률 이라고 생각됩니다. CMA가 무엇인지 잘 모르시는 분들 께서는 제가 이전에 썼던 CMA 글을 보고 오셔도 좋을 것 같습니다. ​ 오늘은 증권사별 CMA 수익률에 관해 써보겠습니다. 총 10개 증권사의 CMA 수익률을 비교해 보았습니다. CMA-RP 중 가장 수익률이 높은 곳은 유안타와 유진투자증권, SK증권 이 세 곳입니다. 유안타와 SK증권은 수익률 우대 혜택또한 존재합니다. 유안타의 경우 만 18세 이하 자녀의 CMA통장을 개설할 경우 우대수익률 0.2%, 셋째부터는 0.5%를 추가로 줍니.. 더보기
[Planet F] 채권 투자를 시작할 때, 보통 가장 먼저 얘기하는 것이 채권인데요, 사실 깊게 파고들면 밑도 끝도 없이 어렵습니다. 최대한 필요한 정보만, 간추려서 써 보겠습니다. 기업 혹은 단체가 연구를 하거나, 공장을 짓는 등 확장을 할 때에는 돈이 필요합니다.이 때 기업이 선택할 수 있는 선택지는 3가지 입니다. 1. 은행에서 빌린다 2. 채권을 발행한다(시장에서 빌린다) 3. 주식을 발행한다(시장에서 빌린다) 오늘은 이 중, 채권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위에서 말씀드렸듯 채권은 기업의 자금조달을 위해서 발행하게 됩니다. 기업은 채권을 발행하고, 투자자들은 채권을 거래하여 기업에 돈을 빌려주게 됩니다.기업은 돈을 빌리는 대가로 투자자들에게 투자 금액에 대한 이자를 지급하죠. 이자지급 형태는 채권 별로 상이합니다.만기시에.. 더보기
[Planet F] 이자율 적금, 혹은 금융상품을 새로 개설하려고 하실 때 대부분은 이자율을 먼저 보게 됩니다. 그런데, 이자율을 볼 때에는 단지 눈에 보이는 이자율이 전부가 아닙니다. 오늘은 눈에 보이지 않는 이자율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먼저, 이자를 계산하는 방법에는 단리와 복리, 두 가지가 있습니다. 단리는 원금에 대해서만 이자를 지급하는 방식입니다. 연 이자 10%를 단리로 지급하는 예금이 있습니다. 이 예금에 10만원을 넣고, 2년동안 묵히면?2년 뒤에 받을 수 있는 이자는 첫 번째 해에 이자 10,000원, 두 번째 해에도 이자 10,000 원으로 총 20,000원을 받을 수 있게 됩니다.만약 10년을 묵히게 되면 총 이자로 얼마를 받을 수 있을까요?10년 뒤에는 원금 100,000원을 제외하고 이자로 100,000.. 더보기
[Planet F] CMA 요즈음 CMA와 관련된 뉴스들이 많습니다. CMA 계좌들에 돈이 몰린다는 등... 대체 뭐길래 다들 돈을 맡기려고 하는걸까요? CMA는 Cash Management Account로, 말 그대로 돈 관리 계좌입니다. 이 CMA통장이 일반 입출금통장과 다른 점은, 시중 은행이 아닌 증권사에서 개설 가능하다는 점입니다. 국민은행, 신한은행 등 우리가 아는 은행들이 아닌 미래에셋대우, 키움증권, 신한금융투자 등에서 개설 가능한 것이죠. 하지만 다른 통장들과의 차이점이 이것 뿐이라면 다들 CMA에 열광하지는 않을 것입니다. CMA와 일반 통장의 가장 큰 차이점은 CMA가 수시로 입출금 할 수 있음에도 이자율이 일반 통장에 비해 높다는 것인데요. 시중은행에서 흔히 볼 수 이자율은 받으나 마나 한 0.1내외입니다. .. 더보기
[Planet F] 예금 / 적금 우리가 가지고 있는 돈은 우리가 알고있던, 모르고 있던 적어도 한 번은 은행을 거치게 됩니다. 우리는 모두 적어도 하나의 통장을 가지고 있고, 한 번 이상은 사용한 적이 있습니다. 하지만 이 통장에 어떻게 이자가 들어오는지, 내 통장의 종류는 무엇인지 모르시는 분도 많은 것 같습니다. 어떻게 은행이 돈을 버는지, 우리는 어떻게 이자를 받는지 이제 알아볼까요? 우리는 은행에 돈을 맡기고, 은행은 우리의 돈을 필요한 사람에게 빌려줍니다. 은행에서 돈을 빌린 사람은 돈을 빌린 대가로 빌린 돈에 더해 이자를 내게 됩니다. 이 이자로, 은행은 직원들의 월급을 주고 우리의 통장에이자를 주는것이죠. 이 기본적인 형태를 대표하는 상품이 바로 예금/적금입니다. 예금과 적금은 크게 세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1. 입출금.. 더보기